LOBYTE : 가장 하위 1바이트를 말함, 리틀엔디안으로 들어간 메모리 값 중 가장 오른쪽 값?BYTE1 : 리틀엔디안으로 들어간 메모리 값 중 오른쪽 2번째 값?BYTE2 : 리틀엔디안으로 들어간 메모리 값 중 오른쪽 3번째 값?BYTE3 : 리틀엔디안으로 들어간 메모리 값 중 오른쪽 4번째 값?HIBYTE : 가장 상위 1바이트를 말함, 리틀엔디안으로 들어간 메모리 값 중 가장 왼쪽 값? 복잡하니깐 예제여기서 v13을 예제로 들어보자.v13의 값은 메모리에 리틀엔디안 방식으로 저장되어서 0x64636261로 들어간 것을 볼 수 있다. 이것을 위의 매크로로 표현하면 v13 = 0x61 LOBYTE(v13) = 0x61 BYTE1(v13) = 0x62 BYTE2(v13) = 0x63 BYTE3(v13)..
#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페이징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#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실제 주소모드와 같이 하나의 물리 메모리에서 모든 프로세스를 매핑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의 폭이 좁다. 때문에 가상 주소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각각의 메모리 할당을 할 때 혼자만의 메모리 공간을 가지도록 착각하게 되면 효율적이다. 페이징을 할 때 메모리를 일정 크기 단위로 블록을 만드는데 이 페이지 블록을 페이지 프레임이라고 부른다. 그리고 이 페이지 블록은 0번지부터 만들어져 페이지 프레임 0, 1번지는 페이지 프레임 1 같은 식으로 번호를 매긴다. ..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