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ogramming/기타
[git] google gitiles 사용
Tribal
2018. 10. 4. 01:57
환경 : Ubuntu 18.04 server 64bit
선행 설치
- bazel : https://docs.bazel.build/versions/master/install-ubuntu.html, JDK 8을 설치한 후에 APT repository로 설치
빌드
1 2 3 4 | $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google/gitiles $ cd gitiles $ bazel build //:gitiles $ bazel test //... | cs |
사용 방법
gitiles가 설치된 디렉토리의 tools/run_dev.sh만 실행하면 된다. 실행되었을 때의 경로는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하며, git을 사용할 때 마다 생기는 .git 디렉토리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.
- gitiles로 작업할 디렉토리로 이동
- .git이 포함된 repository 준비
- gitiles/tools/run_dev.sh 실행
- 브라우저로 gitiles 서버의 8080 포트 접속
실제 사용 화면
현재 작업할 디렉토리를 준비하고, github으로부터 test하기 위한 샘플 코드를 받아왔다. 실행을 위해 1줄짜리 쉘 스크립트를 대충 준비해두었다.
준비해둔 쉘 스크립트를 실행시키면 run_dev.sh가 실행되어 gitiles 설정 파일을 확인 후, 설정 파일에 맞춰 설정(없다면 defaults)을 하고 8080 포트로 서버를 준비한다.
브라우저로 현재 서버의 8080 포트로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, github에서 샘플로 받았던 git repository를 확인 가능하다. 다른 파일 또는 디렉토리가 존재하여도 git repository가 아니면 여기에서 찾아 볼 수 없다.
git repository를 클릭하면 실제 commit했던 정보나 branch를 확인할 수 있고, branch를 그대로 클릭하면 해당 branch의 소스 코드 및 commit 했던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.
팁
- 해당 디렉토리가 git repo가 아닌 경우
1 2 | $ cd [work directory] $ git init && git add . && git commit -m "first commit" | cs |
참고
- gitiles github : https://github.com/google/gitiles